경조문
경조사의 인사예절[慶弔修禮]
가. 경조사의 종류와 인사말 |
1). 경사(慶事): 기쁜 일·함께 기뻐해 기쁨을 보태며 더 잘되기 를 빈다
⑴ 임신: 慶祝 順産·기쁜 임신을 경하하며 건강한 아기의 순산을 빕니다.
⑵ 출산: 慶賀 出産·예쁜 아기의 출산을 경하합니다.
⑶ 백일: 慶賀 百日·아기의 백일을 맞아 크신 기쁨을 경하합니다.
⑷ 돌: 慶賀 晬筵·아기의 돌을 맞아 크신 보람과 기쁨을 경하합니다.
⑸ 입학: 慶賀 就學(進學)·◯◯학교·유치원의 입학을 경하합니다.
⑹ 졸업: 慶賀 卒業·◯◯학교의 졸업을 경하합니다.
⑺ 취직: 慶賀 就業(昇進·榮轉)·기쁜 취직(승진·영전)을 경하합니다.
⑻ 혼인: 慶賀 婚姻·기쁜 혼인을 경하하며 행복하기를 빕니다.
- 축혼인(祝婚姻)-혼인을 축하.
- 축화혼(祝華婚)-빛나는 혼인식을 축하.- 축성혼(祝聖婚)-성스러운 혼인식을 축하.- 축화촉(祝華燭)-혼인식을 축하.- 축성전(祝盛典)-성대한 혼인식을 축하.- 축화촉지전(祝華燭之典)-결혼식을 축하.- 축의(祝儀)-혼인을 축하하는 의례.
⑼ 집들이와 이사:
- 경축설산(慶祝 設産(轉移)-새살림을 경하하며 발전을 빕니다.
⑽ 개업과 이전:
- 경축개업- 慶祝 開業(發展)·희망찬 개업을 경하하며 발전을 빕니다.
⑾ 생신: 慶賀 壽筵-生辰을 경하하며 만수무강하시기를 빕니다.
- 하축생일(賀祝生日)-
- 경하수연(慶賀壽筵)-
- 하축생신(賀祝生辰)-
- 축수연(祝壽宴)-회갑 잔치를 축하.- 축수연(祝洙筵)-회갑 자리를 축하.- 축희연(祝禧筵)-복된 회갑자리를 축하.- 축경연(祝慶筵)-경사스러움 회갑잔치를 를 축하.- 하의(賀儀)-축하하는 의례. 하례(賀禮).- 축수연(祝睟筵)-생신자리를 축하.- 축수의(祝晬儀)-생신을 축하하는 의례.
- 회갑 回甲 : 61세 되는해 (환갑 還甲)
- 진갑 進甲 : 회갑 다음해 (진갑進甲)
- 축고희(祝古稀)-칠순 七旬 : 70세 되는해 (고희古稀)
- 축희수(祝稀壽)-희수 稀壽 : 77세 되는해 (희수稀壽.喜壽)
- 축희수(祝喜壽)-희수 稀壽 : 77세 되는해 (희수稀壽.喜壽)
- 축산수(祝傘壽)-팔순 八旬 : 80세 되는해 (산수傘壽)
- 축미수(祝米壽)-미수 米壽 : 88세 되는해 (미수연米壽宴)
- 축백수 * 祝白壽백수 白壽 : 99세 되는해 (백수白壽
⑿ 혼인기념:
-慶賀 婚姻記念(回婚筵)-회혼을 경하하며 만수무강을 빕니다.
1주년 - 지혼식(祗婚式)
2주년 - 고혼식(藁婚式)
3주년 - 과혼식(菓婚式)
4주년 - 혁혼식(革婚式)
5주년 - 목혼식(木婚式)
7주년 - 화혼식(花婚式)
10주년- 석혼식(錫婚式)
12주년- 마혼식(麻婚式)
15주년- 동혼식(銅婚式, 또는 水晶婚式)
20주년- 도혼식(陶婚式, 陶磁器婚式)
25주년- 은혼식(銀婚式)
30주년- 진주혼식(眞珠婚式)
35주년- 산호혼식(珊湖婚式)
40주년- 녹옥혼식(綠玉婚式, 에머랄드혼식)
45주년- 홍옥혼식(紅玉婚式, 루비혼식)
50주년- 금혼식(金婚式)
55주년- 금강석혼식(金剛石婚式,다이아몬드)
60주년- 회혼식(回婚式)
75주년- 금강혼식(金剛婚式)
2). 감사(感謝): 고마운 일의 부탁과 사례를 정중하고 간절하게 한다
⑴ 일의 부탁 :
- 幣帛 -크나큰 은혜로 도와주실 것을 간절히 바랍니다.
⑵ 끝난일의 감사:
- 幣帛(謝禮)-도와주신 큰 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.
● 일에 대한 부탁 또는 감사의 사례나 폐백에
①寸志(촌지·아주 작은 뜻),
②微意(미의·아주 적은 마음),
③薄禮(박례·아주 얇고 적게 예를 표한다)
※ 이런 것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용돈을 줄 때, 또는 아랫사람의 수고의 대가를 줄때에 쓰는 말이다.
⑶ 선물(膳物)
- 미의(微儀)-작은 의례.- 미성(微誠)-작은 정성.- 비품(菲品)-약소한 물품.- 조품(粗品)-남에게 선물 따위를 보낼 때 쓰는 겸사(겸손)의 말- 봉정(奉呈)-삼가드림.
3). 헤어짐: 그간의 공로를 치하하며 이별을 아쉬워하고 또 만나 길 기약한다
⑴ 송별 :
- 餞別(惜別)-그간의 우정을 감사하며 반드시 또 만날 것을 다진다.
⑵ 전근·정년퇴임:
- 근위노공(謹慰 勞功)-그간의 로공을 치하하며 또 만나기를 바란 다.
- 근위노공(謹慰勞功)-삼가 맡은 일에 힘쓴 공로를 위로.
- 근하노고(謹賀勞苦)-삼가 노고를 축하.- 석별(惜別-그간의 우정을 감사하며 반드시 또 만날 것을 다진다.
4). 위문(慰問): 병환과 재난을 근심하며 회복과 전화위복을 진심 ·으로 빈다
⑴ 문병:
- 기축쾌유(祈祝快癒)-병환을 근심하며 빠른 회복을 믿고 깊이 빕니다.- 축회춘(祝回春)-큰 병이 나아서 건강이 회복됨을 축하.
- 기쾌유(祈快癒)-병환이 완쾌되기를 기원.- 축회복(祝恢復)-병세가 회복되었음을 축하.
⑵ 재난:
- 기원 회복(祝願 回復)-도난(화재·수재)에서 빠른 회복을 바랍니다.
- 근위 재난(謹慰 災難)-도난(화재·수재)에서 빠른 회복을 바랍니다.
5). 흉사(凶事·弔問): 죽음을 슬퍼하며, 상주의 슬픔을 나누어 가볍게 한다
⑴ 조상(弔喪):죽은 이의 영좌에 분향하고 지극히 슬퍼한다.
⑵ 문상(問喪):유가족에게 슬픔을 위문하고 지나친 슬픔을 경계한다.
⑶ 부조(扶助):
- 부의(賻儀)-갑작히 당한일, 정성을 다해 도와준다.(美風良俗)
- 전의(奠儀)-졸곡 이후의 모든 제사와 추도식에는 전의(奠儀)
⑷ 협력(協力) : 돌연한 사건이다. 일손이 모자란다. 힘껏 도와야 한다.
6). 길사(吉事): 죽은 이에 대한 졸곡이후의 일이다. 고인의 유덕 을 기린다
⑴ 제사(祭祀): - 奠儀-고인의 유덕을 기려 제상에 음식 한 가지라도 올린다
⑵ 추모행사·비석건립·유고간행:
- 헌성(獻誠) - 주관자를 칭송하며 정성을 드린다.
7). 명절(名節): 함께 즐기는 날이다. 어른이나 아랫사람을 즐겁 게 한다
⑴ 설날 :
- 歲饌 -설날에 잡수실 음식을 올립니다. 새해에도 강녕하세요.
- 연하장(年賀狀)- 근하신년(謹賀新年)-삼가 새해를 축하.- 공하신년(恭賀新年)-받들어 새해를 축하.- 근하신정(謹賀新正)-삼가 신정을 축하.
⑵ 한가위 :
- 한가위饌 -오곡백과가 무르익은 한가위에 풍성하게 누리세요.
⑶ 기타 명절 :
- 명절이름饌 -명절을 즐겁게 보내세요. 잡수실 것을 올립니다.
⑷ 어버이날 :
- 獻壽奠幣 -오복을 누리시며 만수무강하시기를 비옵나이다.
⑸ 스승의 날 :
- 獻幣 -가르치신 은덕을 기리며 만수무강하시기를 비옵나이다.
8). 그 밖에
⑴ 출판(책 따위를 받았을 때) : - 축상제(祝上梓)
⑵ 중대한 사명을 띠고 길을 떠날 때 : - 축장도(祝壯途)
⑶ 유작품전(遺作品展) : - 추모지정(追慕之情)
⑷ 마음이나 기운을 북돋울 때 : - 격려금(激勵金)
⑸ 자기의 저서나 작품(作品)을 남에게 줄 때(드릴 때) : - 혜존(惠存)
나. 경조사 인사 때의 요점 |
1). 옷차림
⑴ 경사 기쁜 일에 참석할 때는 정장으로 성장을 한다. 그래야 더 기쁘다.
⑵ 문병 할 때는 담담하고 단조롭고 밝은 색을 입는다. 어두우면 안된다.
⑶ 재난 에 갈 때는 일을 도우러 가는 것이다. 어둡지 않은 작업복이 좋다.
⑷ 흉사 슬픈 일에는 함께 슬퍼해야 한다. 어둡고 무거운 색의 옷이 좋다.
⑸ 길사 상가는 아니나 죽은 이의 일이다. 무겁지 않게 담담한 옷이 좋다.
⑹ 명절 즐거운 날이다. 밝고 화사한 옷이 좋다. 너무 튀는 옷은 피한다.
2). 화장과 장신구
⑴ 경사에는 주인과 같이 화사하게 꾸민다. 잘못하면 주인측이 부끄럽다.
⑵ 흉사에는 화장과 장신구를 짙게 하는 것이 아니다. 슬퍼하는 곳이다.
⑶ 문병, 재난, 길사에는 호들갑스럽게 꾸미지 않는다. 담담한게 좋다.
⑷ 명절에는 튀지 않고 어울리기 편하게 차린다. 천박하면 사람이 피한다.
3). 화제(話題)
⑴ 경사 기쁜 일에 참석하면 당사자의 칭찬이나 기쁨을 돋구는 말을 한다.
⑵ 흉사 상가에서는 고인의 유덕을 기리거나 자손의 효성이 좋은 화제다.
상가에서 도박을 하거나 술 취한 모습을 보이면 실례이다.
⑶ 문병 환자를 안심시키고, 간호하는 가족을 칭송하여 희망을 갖게 한다.
⑷ 재난 재난의 회복방법과 전화위복이 될 것으로 용기를 주고 위로한다.
⑸ 길사 고인의 유덕과 일화, 주관자의 칭송 등 화제로 분위기를 살린다.
⑹ 큰 소리, 격한 소리, 다툼질, 소란으로 경조사의 격을 상해서는 안된다.
4). 음식(飮食)
⑴ 경사 경사관계 행사가 있으면 행사가 끝난 다음에 음식을 먹는다.
혼인 예식에 가서는 예식에 참석하고 끝난 다음에 음식을 먹는 것이 예의이다.
⑵ 흉사 상가에서는 주인측도 잔칫집같이 준비해서는 안되고, 조문객도 음식 먹기에 바쁘면 안된다. 일을 돕는 사람이 아니면 간단한 다과가 좋다.
⑶ 수연행사에서 자손이 헌수하는데 손님이 음식을 먹는 것은 좋지 않다.
⑷ 남의 경조사에 과식·과음하고 추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천박한 일이다.
5). 경조사의 시간지키기
⑴ 경조사에서는 주인이나 손님, 그리고 의식진행에 관계된 사람은 시간을 지켜야 한다.
⑵ 손님은 주인이나 의식진행자를 부뜰고 있으면 안된다.
⑶ 손님은 인사가 끝나면 즉시 물러난다. 모두가 바쁜 날이기 때문이다.
다. 초청장과 부조서식 |
1). 혼인례의 청첩장 서식
⑴ 혼인 날짜가 정해지면 청첩장을 보내지 않으면 섭섭하게 생각할 사람에 게만 청첩장을 보낸다.
⑵ 청첩장에는 혼인예식의 시간과 장소 및 연회의 시간과 장소를 정확하게 쓰고, 보내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바르게 쓴다
⑶ 부모가 자녀의 혼인에 보내는 청첩장 서식
청하는 말씀을 올립니다.
요사이 기력 강녕하신지요? 저희의 큰아들(딸) ◯◯가 다음과 같이 혼인을 하게 되었기에 감히 그 자리를 빛내 주십사고 청하오니 모실수 있는 광영을 베푸시옵소서. 아울러 저희집 경사를 이웃과 함께 즐기고자 약소하나마 상을 차리고, 자리를 빛내 주신 어른의 은혜에 보답코자 하오니 부디 참석하시어 즐겨 주시옵소서.
며느리: ◯◯◯씨와 ◯◯◯여사 내외분의 ◯째 따님 ◯◯양
예식장: ◯◯◯에 있는 ◯◯혼인예식장 ◯층 ◯◯실
예식시: 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 ◯◯시
연회장: ◯◯◯에 있는 ◯◯식당(호텔 ◯◯실)
연회시: 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 ◯◯시부터 ◯◯시까지
연호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
청첩인: ◯ ◯ ◯
◯ ◯ ◯ 올림
◯ ◯ ◯
(동영부인) 좌하
● 딸의 경우는 며느리를 사위로, 따님을 아드님으로 고쳐 쓰면 된다.
연회장은 각기 자기 쪽의 연회장을 쓴다. 청첩인은 부모가 된다.
⑷ 친구의 혼인에 보내는 청첩장의 서식
초청하는 말씀을 올리나이다.
선생님 댁의 안녕하심과 다복하심을 비나이다.
신랑: ◯◯◯선생님과 ◯◯◯선생님 내외분의 ◯째 아드님 ◯◯군과
신부: ◯◯◯선생님과 ◯◯◯선생님 내외분의 ◯째 따 님 ◯◯양의
혼인예식을 다음과 같이 거행 하옵기에 감히 그 자리를 빛내 주십사
고 청하오니 모실 수 있는 광영을 베푸시옵소서.
아울러 양가의 어른께서 자녀분의 혼인경사를 이웃과 더불어 즐기
고자 정성을 다해 상을 차리고, 자리를 빛내 주신 어른의 은혜에 보
답코자 하시니 부디 참석하시어 즐겨 주시옵소서.
예식장: ◯◯◯에 있는 ◯◯혼인예식장 ◯층 ◯◯실
예식시: 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 ◯◯시
신랑측 연회장: ◯◯◯에 있는 ◯◯식당
신부측 연회장: ◯◯◯에 있는 ◯◯식당
연회시: 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 ◯◯시부터 ◯◯시까지
연호◯◯◯◯년 ◯◯월◯◯일
신랑의 친구: ◯ ◯ ◯
신부의 친구: ◯ ◯ ◯ 올림
◯ ◯ ◯
(동영부인) 좌하
2). 혼인례의 축의 금·품 서식
⑴ 경조인사는 부조금·품이 먼저가 아니고 인사를 가는 것이 중요하다. 그러므로 “빈손으로 가느니 그만 두겠다.”는 생각은 옳지 못한 것이다.
⑵ 현금은 봉투에 넣으면 되고, 축의품은 따로 포장하고 포장된 물건과 함께 축의품의 내용을 적어서 넣은 봉투를 접수 시키면 된다.
⑶ 혼인례 축의 금·품의봉투서식
爲(신부는 孃) (신부) (양)
◯ ◯ ◯ 君(한글식: 신랑◯◯◯군을 위하여)
慶 賀 婚 姻(경하혼인)
105mm (거주 시·군) (하 례)
◯ ◯ ◯ 賀 禮
-------------------220mm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① 괄호 안의 한글식으로 써도 된다.
② 접수자가 봉투를 안 뒤집게 하려면 축의금을 내는 사람을 앞면에 쓴다.
③ 거주 시·군은 이름이 같은 경우에 구분하기 좋게 한 것이다.
④ 신랑보다 아랫사람이 낼 때는 ‘하례(賀禮)’를 ‘하배(賀拜)’로 쓴다.
⑷ 혼인례 축의금·품의 속종이[物目記] 서식
① 5칸으로 접는다.
② 1째 칸과 5째 칸은 공란으로 둔다.
③ 1째 칸과 5째 칸은 조금 좁아도 되지만 2·3·4·째 칸은 너비가 봉투 너비와 같아야 좋다.
④봉투의 길이와 속종이의 너비는 같은 것이 좋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①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② 째칸爲(신부) (양)
新郞 ◯ ◯ ◯ 君(신랑 ◯◯◯군을 위하여)
297mm (婦) (孃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慶 賀 婚 姻(경하혼인)
謹 祝 幸 福(근축행복)(品 品名 ◯箇)
③ 째칸賀儀金 ◯◯원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年號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
④ 째칸(거주지)
◯ ◯ ◯ 賀禮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⑤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220mm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● ① 내용을 한글로 써도 된다.
3). 수연례의 청첩정 서식
요사이 기력 강녕하시며 댁내도 두루 안녕하신지요?
이번에 저희들의 아버님(어머님)---함◯자◯자---의 (무슨)◯◯
생신을 맞이하여 두 분 어른을 즐겁게 해 드리고자 다음과 같이
조촐한 자리를 마련하기로 하였사옵니다.
어른께서 자리를 함께 하시어 저희들의 정성에 힘이 되어 주시면
더욱 즐거운 자리가 되겠기에 감히 청하오니 부디 오셔서 함께해 주
시옵소서.
장 소: ◯◯◯에 있는 ◯◯식당
일 시: 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 헌수: ◯◯시
연회: ◯◯시
헌수행사에 참여하실 어른은 헌수시간에 오시기 바랍니다.
연호◯◯◯◯년 ◯◯월 ◯◯일
◯ ◯ ◯
◯ ◯
◯ ◯ 아룀
◯ ◯ ◯
(동영부인) 좌 하
● ①3째 줄의 (무슨)◯◯은 51세는 望六旬, 60세는 六旬, 61세는 回甲, 62 세는 進(陳)甲, 66세는 美壽, 70세는 七旬, 77세는 喜壽, 80세는 八旬, 88세는 米壽, 90세는 九旬, 99세는 白壽, 100세는 期壽라고 쓴다. 70세 를 稀壽(오래 살았다), 90세를 卒壽(다 살았다)라고 쓰는 것은 잘못된 것 이다.
②헌수를 하지 않을 때는 헌수시간과 헌수관계 안내말은 쓰지 않는다.
③자손의 이름위에 子, 女, 壻를 쓰면 청첩을 받는 사람의 자녀서가 되어안된다. 글을 보내는 사람의 이름위에는 받는 사람과의 관계를 쓰는 것이 기 때문이다.
4). 수연례의 축의 금·품 서식
⑴ 봉투의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爲
◯ ◯ ◯ 先 生 님(한글식:◯◯◯선생님을 위하여)
慶 賀 壽 筵(경 하 수 연)
거주 시·군 (하 배)
◯ ◯ ◯ 賀 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⑵ 수연례 축의금·품의 속종이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①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② 째칸
爲
◯ ◯ ◯先 生 님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③ 째칸
慶賀 七旬壽筵
謹祝 萬壽無疆
賀 儀 品 藥 酒 二 甁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④ 째칸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
거 주 시·군
◯◯◯賀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⑤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● ①한글로 써도 좋다.
② 생신의 종류는 사실대로 쓴다.
5). 상장례의 부고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訃告
◯◯高等學校校長 ◯◯ 大人 ◯◯郡守 金海金達柱公 以五月十五日 不意 交通事故 不幸於五月二十五日午後三時 棄世于◯◯病院 玆以 告
訃
發靷日時: 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 ◯◯時
發靷場所: ◯◯◯所在 ◯◯病院 ◯◯室
葬 地: ◯◯◯道 ◯◯市 ◯◯面 ◯◯里 後山麓
主喪 嗣子 ◯◯
主婦 室人 ◯◯◯
嗣婦 ◯◯◯
子 ◯◯
婦 ◯◯◯
女 ◯◯
壻 ◯◯◯
孫子 ◯◯
孫女 ◯◯
年號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
護 喪 ◯ ◯ ◯ 上
◯ ◯ ◯ 座 前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● ①한글로 써도 된다.
② 사실대로 바꿔 쓴다.
③ 미망인이 있으면 미망인이 주부다. 주상 다음에 쓴다. 주상이 제일 먼 저 씌어져야 하기 때문이다. 부고에 ‘미망인’이라 쓰는 것은 실례이다.
④ 자손의 이름위의 관계는 고인과의 관계이다. 자손의 이름이 날짜 밖에 씌어지면 부고를 받는 사람과의 관계가 되어 망발이 된다.
⑤ 자손은 성인만 쓴다. 친구들의 조문편의를 위해 쓰는 것이다.
⑥ 자손들을 다 쓴 다음에 날자를 쓴다. 날자를 안쓰면 자손의 관계가 부 고를 받는 이와의 관계가 된다. 편지를 보내는 사람의 이름위에는 편지를 받는 이와의 관계를 쓰는 것이 일반적인 편지 서식이기 때문이다.
⑦ 반드시 부고는 호상의 이름으로 보낸다. 그래서 날자 밖에는 호상의 이 름만 쓴다.
6). 상장례의 부조 금·품 서식
⑴ 상장례의 부의(賻儀)의 봉투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爲
◯ ◯ ◯ 宅喪次
賻 儀(부 의)
거주 시·군
◯ ◯ ◯ 哭 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● ① 喪次는 상가를 말한다. 한글로 써도 된다.
⑵ 상장례 부의의 속종이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①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② 째칸
爲(한글식:◯◯◯씨의 어머님 상을 위하여)
◯ ◯ ◯ 氏 大夫人 喪次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③ 째칸
謹
弔 慰
賻 儀 品 麻 布 一 疋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④ 째칸
연호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
거 주 시·군
◯ ◯ ◯ 哭 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⑤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7) 길사(吉事)의 부조 금·품 서식
⑴ 길사란 죽은 이에 대한 졸곡이후의 제사, 추모행사, 비석 건립, 유고 간 행 등의 행사를 말한다.
⑵ 같은 길사라도 제사에는 祭羞를 올린다는 뜻으로 ‘奠儀’라 하고, 기타의 행사는 비용에 정성을 드린다는 뜻으로 ‘獻誠’이라 한다.
⑶ 길사 부조의 봉투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爲
◯ ◯ ◯ 선생님의 -무슨 일-(◯주기, 추모회, ◯◯비건립 등)
獻 誠(제사에는 奠儀)
거주 시·군
◯ ◯ ◯ 再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⑷ 길사 부조의 속종이 서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①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② 째칸
爲
◯ ◯ ◯先生님의(◯週忌, 追慕會, ◯◯碑建立, 遺稿刊行 등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③ 째칸
欽慕遺德
獻誠奠羞(제사 외에는 獻誠奠資)
獻 誠 金 ◯ ◯ ◯원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④ 째칸年號◯◯◯◯年 ◯◯月 ◯◯日
거주 시·군
◯ ◯ ◯ 再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⑤ 째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● ① 한글로 써도 좋다.
[Reference] : 우리예절,「우리예절 - 한국의 실천예절 –http://www.wooriyejeol.or.kr/xe/?mid=korea_yejeol&document_srl=12471